Q. 1만 유튜버는 한 달에 얼마 벌까요?
마음 속에 답변 하나를 생각해주세요. 실제로 얼마 버는지 아래에서 공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.
1만 유튜버가 한 달에 얼마 버냐고 질문을 했을 때 답변은 천차만별입니다. 누구는 월 1000만원이라 답하고, 누구는 월 50만원도 못 번다고 답합니다.😼
월 1000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하신 분들은 주변에 사업 수완이 뛰어난 유튜버 분이 계시거나, 1만 구독자라는 숫자에 비추어 어림짐작하셨을 가능성이 높죠.
그리고 월 50만원도 못 번다고 응답하신 분들은 유튜브 광고수익이 얼마 안 된다는 것을 아는 분들이 많습니다.
과연 유튜브는 돈이 될까..?
A. 현실은 이렇습니다.
두더지 팀은 지난 3년 간 수백명의 크리에이터들과 협업하면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냈습니다.
답은 "0원 ~ 수억원" 입니다.
사업하는 사람이 한 달에 얼마 버는지 일반화할 수 없는 것 처럼, 크리에이터의 수입도 일반화할 수 없습니다.
제 주변에는 수익창출에 아예 실패한 크리에이터도 계시고, 상상조차 못 할 만큼의 매출을 올리는 크리에이터도 계십니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, 여러분께 참고가 될만한 수치를 말씀드리겠습니다.
전체 크리에이터의 50%는 연 1500달러(한화 200만원) 이하의 소득을 법니다. 이는 월에 20만원 이하입니다. 이러한 현실 때문에 75% 이상의 크리에이터들은 수익이 부족하다고 호소합니다.
생각보다 수입이 매우 적죠?
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요?
유튜버의 수익을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첫번째 수입원은 콘텐츠 조회수에 해당하는 광고 수익입니다.
그러나 생각보다 이 수익은 적습니다.
영상의 평균 조회수가 1만일 때 광고 수익은 4만원 내외입니다. 컨텐츠 조회수 수입은 이것보다 훨씬 낮죠. 컨텐츠를 하나 제작하는 데에 10-20시간이 걸리는데 이를 이용하여 시급을 계산하면 최저시급도 안 나오는 것이 현실입니다.
결국, 수백만 구독자의 크리에이터가 아닌 이상 컨텐츠만으로는 수익을 절대 충분히 창출 할 수 없습니다
광고 수익은 절대 충분하지 않습니다 클릭해서 이미지를 올려주세요
그 다음으로 고민하는 수입원은,
강의 등의 상품을 홍보하고 판매하는 방식입니다.
물론 다양한 사례가 있다지만, 이 경우 구독자 대비 결제인원 비율인 결제전환율이 평균 0.06%로 집계되었습니다.
즉, 1만 유튜버라면 6명이 상품을 구매하고 객단가 40만원 기준 240만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겁니다.
이게 큰건지, 작은건지 비교 기준을 드리겠습니다.
0.06%라는 수치는 이커머스(쿠팡 등의 쇼핑몰)의 평균적인 결제전환율인 1%에 비해 1/10도 안 되는 수치입니다. 더욱이, 상품을 판매하는 플랫폼(패스트캠퍼스, 클래스 101 등)의 수수료는 50%가 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. 결국 크리에이터는 세금까지 떼고 나면 전체 매출의 50% 이하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고, 따라서 강의 수익은 생각보다 제한적입니다.
저희 두더지웍스 팀은 이런 의문이 들었습니다.
크리에이터는 팬들도 있는데, 왜 쿠팡보다도 결제전환이 낮은걸까?
그리고 다음과 같은 결론에 다다랐습니다.
대부분의 크리에이터는 '구독자'라는 무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합니다.
“유튜브”라는 무대에서 “구독자”라는 무기를 가지고도 일반적인 쇼핑몰이 상품을 팔듯이 판매하니까 구독자들의 지갑을 열 수 없습니다.
가치를 전달하고 그 대가로 돈을 받는 것, 자본주의의 본질입니다. 클릭해서 이미지를 올려주세요
해결방법은 없을까요?
크리에이터가 결제전환율을 높이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.
첫째, 구독자를 팬으로 전환시키는 것
구독자를 확보하는 것만큼이나 구독자를 “팬”으로 전환시키는 작업은 수익화의 핵심입니다. 이들이 팬이 되면 자연스레 지갑을 열게 됩니다. 물론 그에 합당한 가치를 제공해야겠지요.
구독자들이 크리에이터의 상품을 사는 이유에 있어 “무엇을” 파느냐보다 더 중요한 것은 “누가” 파느냐 입니다. 사람들은 더 이상 '필요해서' 물건을 사지 않습니다. 판매자가 '좋아서' 그 사람에게 물건을 사는 시대가 왔습니다.
둘째, 그 팬에게 최적의 상품을 제공하는 것
팬들에게 최적의 상품을 파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. 팬들이 가장 원하는 것이 무엇일지 깊히 고민해보고 비즈니스 모델(BM) 설계를 해야 합니다.
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추상적이게만 들리기에 저희는 수개월의 연구 끝에 단 하나의 프레임워크를 도출해냈습니다.
<작지만 강한 크리에이터로 성장하는 4단계 프레임워크>
[1단계] 채널 기획 및 콘텐츠 대량 생산 (A→B 역접 프레임워크)
[2단계] 유튜브 구독자 1000명 획득 및 무료 상품 런칭(고객 DB 수집)
무료 컨설팅
무료 웨비나
무료 전자책
무료 소프트웨어
[3단계] 사업의 비즈니스 모델(BM) 설계
코호트 클래스
이너서클
SaaS + 코칭
[4단계] BM의 레버리지 확보
테크 자동화
인적 자동화
단계가 올라갈수록 레버리지가 올라가며 무한한 확장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.
4단계 프레임워크에 대해서는 정말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고 싶지만, 여기서 다 말씀드리면 글이 너무 길어질 뿐더러 가장 효과적인 정보 전달 방법도 아닐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.
더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!